강아지 진드기 예방법 대처법

요즘 정말 강아지랑 산책하기 좋은 날씨죠. 요즘 산책을 나가면 반려견과 산책하고 계시는 분들이 정말 많은데요. 날씨도 좋고 하다보니 반려견과 나들이를 자주 나가게 되고 외출이 잦아지게 되는데요. 봄과 가을이면 진드기가 활발해져서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반려견이 조심해야 되는 진드기와 예방법과 진드기에 물렸을 때의 대처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 진드기 매개 감염증

일반적으로 우리가 살인 진드기라고 부루는 것은 ‘작은소참진드기’입니다.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SFTS)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살인진드기에 물리게 되면 발열, 소화기증상 등을 보이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강아지 또한도 이 증후군에 걸릴 수 있으며 바베시아, 라임병 등 진드기가 매개가 되는 질병에 조심하셔야 합니다.




강아지가 진드기 물렸을 때 증상

강아지가 진드기에 물렸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물린 부위가 부어오르거나 수표, 홍반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열, 마비, 식욕부진, 구토, 급성 빈혈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드기에 물려서 나타나는 감염증의 증상은 잠복기를 거쳐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진드기에 물렸을 경우에는 바로 병원에 데려가셔서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진드기 매개 감염증 중 바베시아의 경우 모든 포유 동물의 적혈구에 침범해 적혈구 세포에 기생하며 번식하는데요. 적혈구를 파괴하면서 용혈성 빈혈과 혈소판 감소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진드기에 물려 감염됬을 경우에는 발열과 짙고 탁한 소변, 혈뇨, 발작,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급성신부전과 신경 이상 증상등이 나타나며 최악의 경우 목숨을 잃을 수 있습니다.




강아지가 진드기 물렸을 때

흙과 풀이 많은 곳에 진드기가 있을 수 있는데요. 이런곳에 산책을 했을 경우에는 신체의 접히는 부분인 귀, 발가락 사이, 겨드랑이 부분에 있을 가능성이 높고 피부가 얇은 사타구니, 꼬리 또한도 진드기가 붙을 수 있습니다.

산책 후에 반려견 몸에 진드기가 있는 걸 말견했다면 그 상태에서 바로 동물병원에 데려가셔야 합니다. 직접 제거를 하면 2차 손상과 피해를 줄 수 있고 또한 진드기의 입은 그대로 반려견 몸에 박힌채 진드기의 몸통만 제거할 수 있어 추가 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혹여나 바로 병원에 데려갈 수 없는 상황이라면 사람도 진드기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 장갑을 반드시 착용하시고 핀셋과 알코올 스왑을 준비해주시고, 빠른 속도가 아닌 천천히 진드기의 머리까지 제거하셔야 합니다. 약 10~20초 정도로 느리지만 강하게 진드기를 잡고 일직선 또는 수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떼어내셔야 되고 진드기가 있던 부위를 소독하셔야 합니다.

진드기 제거 후에 보호자분도 손을 꼭 씻으셔야 합니다. 만약 진드기가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는다면 진드기가 있던 부위에 살이 곪을 수 있는데요 그때에는 바로 병원에 데려가셔서 추가 감염확인하시고 항생제 등을 처방받아 급여해주시면 됩니다.




강아지 진드기 예방법

강아지의 진드기 예방 방법 중 가장 추천방법은 정기적인 구충입니다. 내외부 구충제를 복용시키거나 도포해서 진드기의 감염확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강아지와 외출 시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현재 목걸이, 클립, 스프레이 등 다양한 형태의 기피제가 판매가 되고 있는데요. 강아지에게 무해한 성분인지 확인하시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