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icon ccoha

기후동행카드 신청 발급 충전 방법, 신분당선 가능? (따릉이 사면 무조건 손해)

이 글에서는 기후동행카드에 대해서 알아보고 발급 받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요금 결제와 충전 아이폰 유저의 경우 사용하는 방법까지 확인해 보세요. 우선 판매와 구매 일정 요약을 확인해 보세요.








기후동행카드 적용 범위

기후동행카드는 서울 지역의 버스, 지하철 따릉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서울 지역 내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적용 범위를 잘 알아봐야합니다. 적용 범위를 벗어나면 안타느니만 못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표를 보고 적용 범위를 확인해 보세요. 우선 지하철입니다. 노선에 따라 서울시가 협상한 것이 달라서 요금이 적용 되고 안되는 부분이 다르니 꼭 확인해 보세요. 계속해서 적용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고 합니다.

노선기후동행카드 적용 범위비고
지하철 1호선– 온수~도봉산
– 금천구청~도봉산
지하철 2호선전구간
지하철 3호선지축~오금
지하철 4호선남태령~당고개별내별가람~진접 하차 가능
지하철 5호선– 방화~강일
– 방화~마천
미사~하남검단산 하차 가능
지하철 6호선전구간
지하철 7호선온수~장암석남~까치울 하차 가능
지하철 8호선전구간
지하철 9호선전구간
공항철도김포공항~서울역
경춘선청량리~신내
경의중앙선– 수색~양원
– 수색~서울역
수인분당선청량리~복정
우이신설선전구간
신림선전구간
기후동행카드 지하철 적용 범위



버스의 경우에는 서울에 면허를 둔 버스는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파란버스, 초록버스, 마을버스, 심야버스 등이죠. 그래서 버스는 색상만으로 구분이 가능하기 때문에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광역버스, 공항버스는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니 참고해 주세요.



기후동행카드 구매 및 설치 방법

기후동행카드는 모바일 카드와 실물 카드 두 가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안드로이드폰의 경우 모바일로 사용하면 되고 아이폰의 경우 반드시 실물카드를 발급 받아 사용해야 합니다. 아이폰 유저들은 이런 거 익숙하죠?









따릉이 같이 사면 손해

마지막으로 요금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금제는 심플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드는 의문은 이겁니다. 따릉이 1시간권이 주어지는 데 따릉이 어플을 통해서 기존에 1시간 365일 정기권의 가격이 30,000원이라는 사실입니다.


이렇게 보면 기존 정기권을 이용하는 저 같은 경우에는 기후동행카드를 통해서 따릉이를 추가하는 게 전혀 메리트가 없는 셈이죠. 혹시 따릉이를 같이 구매하시려면 그냥 정기권을 결제하는 게 낫습니다. 특히 아이폰 유저의 경우 기후동행카드를 통해서 따릉이를 사용하려면 티머니GO 어플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습니다.



충전에 관하여

기후동행카드는 처음 충전 이후 재충전 시 만료일 5일전부터 재충전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료일을 기억했다가 만료되기 전날 전역에 미리 충전을 해 놔야합니다. 아마 첫 개시일이나 그 다음 충전일은 재충전을 하려는 사람으로 지하철 역사가 붐비지 않을까 싶네요. 또한 충전하고 나면 사용 개시일을 포함해 30일동안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31일이 껴 있는 달을 지나거나 하면 계산이 복잡해지니 사용에 불편이 없도록 미리 충전을 해야겠습니다.

특히 모바일 카드가 아닌 실물 카드 사용자가 제일 불편할 것 같습니다. 이런 점 때문에 모바일 카드의 경우 자동결제 등과 같은 시스템이 도 입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