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버스 뒷 자석에 타고 가던 중 머리가 어지럽고 속이 안 좋은 느낌이 들더라구요. 그래서 문득 차를 타면 왜 멀미를 하는지 궁금해졌어요. 여러분은 왜 멀미 하는지 아시나요? 오늘은 멀미 하는 이유와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멀미하는 이유
멀미를 하는 이유는 생각보다 간단해요. 눈과 귀가 뇌에 전달하는 정보가 달라서 혼동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차를 타면 귀의 전정기관은 몸이 움직인다고 느껴서 뇌에 정보를 움직임을 전달하는데 사실 우리 눈은 가만히 있기 때문에 가만히 있다고 뇌에 전달을 하게 됩니다. 이때 뇌에서 혼동이 일어나서 멀미가 나는 거라고 해요.
멀미가 나는 상황
차를 탈 때에도 그렇지만 3D 영화를 볼때나 게임을 할 때도 멀미가 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이 상황은 위의 상황과는 반대로 눈은 움직인다고 느끼는데 귀는 움직임이 없다고 느껴 뇌에 그렇게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이라고 해요.
멀미 안 하는 좌석
우선 흔들림이 적은 자리에 앉는 것이 가장 좋아요. 차나 버스는 앞좌석이 좋고 비행기는 날개 근처,배는 배의 중간 쪽 좌석에 앉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멀미가 심한 분들은 역방향으로 가는 기차를 절대 타지 않는 것이 중요해요.
멀이 안 하는 방법
저는 어릴 적 부터 멀미가 굉장히 심해서 이동하는 차에서는 물 한 모금도 마시지 못 할 정도였는데요. 나이를 먹으면서 많이 좋아져서 이젠 멀미약 없이도 잘 돌아다닐 수 있게 되었어요. 저만의 꿀팁은 우선 이동수단을 많이 이용해서 타보는 것 이었어요. 저는 대학교를 통학해서 고속버스를 매일 타고 다녔어요. 처음엔 멀미가 너무 심해서 학교에 갈 때 멀미약을 먹고 탈 정도였는데 계속 멀미약을 먹다보니 강의 시간 내내 졸리고 집중도 안돼서 먹다가 점점 안 먹으니까 몸이 버스 타는거에 적응을 하더니 멀미가 사라지더라구요.
우선 멀미가 심하다면 약국에서 먹는 멀미약을 달라고 한 후 차를 타기 약 30분 전 쯤 복용해주세요. 귀 밑에 붙이는 키미테도 있지만 약품이 묻은 손으로 눈을 만지면 일시적인 시각장애가 올 수 있고 어린 아이들은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다고 해요. 그래서 저는 크게 효과를 보진 못했던 것 같아요. 요즘은 멀미약 종류가 워낙 많아서 본인에게 맞는 종류의 약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분말 형태의 멀미약이 효과가 가장 좋았는데 너무 너무 졸려서 조금 덜 졸린 액상 형태를 마시는 편 입니다.저는 이지롱이라는 노란색 뚜껑의 약을 선호해요! 그리고 좌석이 좋지 못하다면 최대한 잠을 청하려고 하시거나 창밖으로 눈을 멀리 두는 걸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