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마시면 얼굴 빨개지는 이유

술을 한 잔도 못 마시는 사람이 아니라면 성인이 된 후 종종 술자리를 가지게 되는데요. 하지만 같은 양을 마셔도 유독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이 있습니다. 왜 술을 마시면 이와 같은 증상을 보이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술 마시면 얼굴 빨개지는 이유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바로 알코올 분해 과정에 있는데요. 알코올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부산물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체내에서 알코올이 분해될 때 아세트알데하이드라는 물질이 발생하는데 이 물질은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된다고 해요. 이 발암물질이 혈관을 평상시보다 넓게 확장시키는데 얼굴에 있는 혈관 또한 지나치게 확장되어 혈액이 얼굴로 급격하게 쏠리게 만들어 음주 후 일시적으로 얼굴이 빨개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점차 분해되기 시작해서 소변이나 땀으로 배출됩니다. 그러면서 빨갰던 얼굴색도 다시 정상으로 돌아온다고 하네요.




사람마다 차이가 있는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몸 밖으로 배출되기 까지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 해요. 빠르게 분해하기 위해서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즉 ALDH라는 효소가 필요한데 이 효소가 선천적으로 부족한 사람이 있어서 빠르게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지 못해 같은 양을 마셔도 얼굴이 남들보다 빨개지는 경우가 생긴다고 합니다. 이 효소는 서양인보다 아시아인이 많이 부족하다고 하는데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선천적으로 부족하다고 하네요.




해결 방법

앞서 설명드렸듯이 아세트알데하이드는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어요. 얼굴 빨개짐 뿐만 아니라 뇌를 손상시키는 주된 요인이기 때문에 흔히 말하는 필름이 끊기는 현상,알코올성 치매등의 기억 유지에 치명적이라고 합니다. 메스꺼움,구토,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도 이 발암물질 때문 이라고 하네요. 때문에 빠르게 분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요. 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운동이나 사우나를 하시는 분들이 계실텐데 오히려 심장에 큰 무리가 되어 좋지 않을 수 있어요. 가급적 물을 많이 마셔 소변으로 배출 하는 방법이 가장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물 외 탄산음료나 과일 등 다른 음식을 섭취하면 오히려 숙취를 악화시킨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