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의 종류와 할 수 있는 조건

안녕하세요. 여러분은 혹시 헌혈을 해본 적 있으신가요? 저는 예전부터 해봐야지 생각은 했지만 어떻게 하는지,어떤 조건이 있는지 자세하게 알지 못해서 미루고 있었어요. 오늘은 헌혈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록 해요.



헌혈이란?

헌혈은 쉽게 말해 자신의 피를 무상으로 기부하는 것을 말해요. 주로 수혈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제공 되지만 혈액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품의 연구와 개발에도 사용 된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독자적이거나 적십자사와 연계한 헌혈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이를 통해 필요한 의료용 혈액을 수급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대한적십자사 혈약관리본부 홈페이지↓)
https://www.bloodinfo.net/knrcbs/main.do



헌혈의 종류

헌혈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전혈,성분 헌혈으로 나뉘는데 전혈은 헌혈 중 약 70%의 비율을 차지하는 일반적인 헌혈로 생각하면 된다고 해요. 혈액의 모든 성분들을 채혈하는 것으로 백혈구는 제외 한다고 해요. 채혈량은 320ml와 420ml가 있고 대부분 20분 내외로 채혈이 끝난다고 해요. 두번째로 성분 헌혈은 적혈구,혈장,혈소판 중 한가지 성분만 채혈하는 것을 말해요. 필요한 성분만 걸러내고 다시 몸속을 넣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채혈 시간은 1시간 가량 소요 된다고 합니다. 성분 헌혈의 특징으로는 채혈 후 최소 2주 후에 또 가능하다고 하네요.



헌혈 할 수 있는 조건

체중은 혈액 양과 관련이 있다고 해요. 체중이 적게 나가는 사람은 헌혈 양이 적을 뿐 아니라 회복 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기준 체중이 있어요. 아래는 2023년 기준 헌혈 가능 체중이에요.

  • 남성: 50kg 이상 (만16~69세)
  • 여성: 45kg 이상 (만16~69세)
    혈소판,혈장 성분 헌혈 (만 17~59세)

헌혈이 가능한 체중이어도 신장 대비 저체중으로 인해 체내 혈액량이 적다고 판단되면 헌혈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해요. 최근 다이어트나 질병으로 인해 급격하게 체중의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 제한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비만인 경우는 제한이 없다고 하네요.



헌혈 전 간단한 건강진단을 진행하는데 혈압,체온,맥박 등을 측정하고 아래의 기준에 충족 해야 합니다.

  • 혈압: 수축기 90~190mmHg 이완기: 100mmHg 미만
  • 체온: 37.5℃ 이하
  • 맥박: 50~100 (회/분)



질병이 있는 경우 수혈자에게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제한 되는 경우가 있어요.

  • 감염병 및 기타 질병: 완치 후 일정 기간 경과
  • 수혈: 수혈 후 1년 경과
  • 임신,분만,유산: 임신중인 사람과 분만이나 유산을 한 경우 6개월 이내 불가



헌혈의 이점과 부작용

헌혈 전 간단한 건강검진을 진행하기 때문에 빈혈이나 고혈압 또는 저혈압 같은 문제를 식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요.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심혈관 건강 증진에도 기여 한다고 합니다. 고혈압이 있는 사람들은 헌혈 후 혈압이 낮아지는 결과도 있었다고 하니 조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하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데 현기증,메스꺼움,헌혈 부위 타박상 등의 증상이 있다고 해요. 그렇지만 이런 증상은 헌혈 후 24시간 내에 사라지기 때문에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헌혈 후 빠져나간 영양분들을 채우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헌헐 후 소고기,시금치 등 철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먹는 건 어떨가요? 저도 기회가 된다면 꼭 헌혈을 해보고 싶네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